효율적으로 비효율적인 시장, Effciently Inefficient How Smart Money Invests and Market Prices Are Determined,
라세 헤제 페데르센 지음, 이현열 옮김
2부 주식 선택 전략
7장 재량적 주식 투자
기업을 경영하는 것처럼 투자하는 것.
"당신의 비즈니스를 분명히 이해하라." "적절한 관심과 이해를 바탕으로 경영자의 활동을 감독하라." "확실한 계산을 바탕으로 상당한 이익을 볼 기회가 아니라면 거래를 시작해서는 안 된다." "객관적인 사실과 건전한 판단에 근거한 결론이라면, 그 판단을 빋고 행동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이 나와 다른 판단을 하고 망설이는 상황이라도 상관 없다."
-벤자민 그레이엄, "현명한 투자자"
- 롱-숏 헤지펀스(long-short hedge fund) : 할인된 좋은 주식을 매수하고, 고평가된 나쁜 주식을 매도하는 전략.
- 연기금, 국부 펀드같은 대형 펀드 들은 공매도를 할 수 없으므로 롱-온리(long only) 전략을 사용한다. 이 경우 좋은 주식을 찾는 데 중점을 둔다.
- *내 성향과 상황에 따라 롱-숏을 구사하는 것보다 롱-온리를 구사하는 게 나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숏은 마진 거래이므로 시장을 예의주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 가치 투자 : 가치투자는 용기를 필요로 한다.
- 기본적 분석 : 투자자 성향에 따라 '숫자', '사람', '산업역학'에 집중하는 정도가 다르다. 전체 산업에 베팅한 후 다른 산업의 주식을 공매도하기도 한다.
- 안전 마진 : 미래의 수익을 추정한 후 미래 수익을 할인하여 계산한다. 그러나 '내재가치가 시장가격만큼 확실하고 결정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벤저민 그레이엄)' 안전 마진이 필요하다.
- 가치 함정 : 가치투자자가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는 기업을 소유하게 되는 위험. 많은 가치투자자들이 밸류 트랩에 빠져 시장에서 사라졌다.
- 훌륭한 회사를 적당한 가격에 사는 것이 적당한 회사를 아주 저렴한 가격에 사는 것보다 더 낫다.
-워렌 버핏 - 우량주 투자 : 좋은 기업을 매수하는 것. 우량한 기업이란? 미래 잉여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가 높은 것. 즉 이익의 성장률이 높은 것. 유의점. 성장에 대한 환상만 있고 현재 수익성이 거의 없는 주식은 위험하다. 특히 시장 베타, 즉 시장이 하락할 때 주가도 함께 하락하는 체계적인 위험을 조심해야 한다.
가치투자자와 성장투자자 사진
( )
- 둘 중 누가 옳을까? 놀랍게도 평균적으로 둘 다 맞다. 따라서 가치주 투자와 우량주 투자를 결합하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양말을 사던 주식을 사던, 나는 질 좋은 물건의 가격이 인하되었을 때 사는 것을 좋아한다.
-워렌 버핏
- 버핏이 성공을 거둔 또 다른 이유는 레버리지다. 버크셔는 보험사와 재보험사를 운영한다. 보험을 팔 때, 미리 보험료를 징수하고 나중에 청구에 대한 지불을 하는데, 이는 대출을 받는 것과 같다. 버크셔의 부채에는 이연 세금(본질적으로 무이자 대출이다)과 파생 계약 부채도 포함되어 있다.
기업의 실적이 좋으면 서둘러 판 후 이익을 기록하며, 실망시키는 사업에 집요하게 매달리는 사람들이 있다. 피터 린치는 그러한 행동을 꽃을 자르고 잡초에 물을 주는 것에 비유했다.
-워렌 버핏
매버릭 캐피털의 리 에인슬리와의 인터뷰(*약간 편집)
"우리가 투자한 모든 산업의 2년이나 3년 뒤를 내다보고, 승자와 패자를 알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와 시장의 관점 차이를 인식하려고 한다."
"첫째, 경영진의 자질을 본다(*CEO). 둘째, 사업의 질을 본다(*BM). 셋째, 특정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가치 평가를 한다."
"단기적인 기대에 대응하는 것도 확실히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향후 몇 년 동안을 내다보는 데 훨씬 더 집중하고 단기적인 결과에는 신경을 덜 쓴다."
"공매도 투자 관점은 매수 관점과 정반대이다. 무능한 경영진, 지속 가능하지 않은 펀더멘털(*BM), 말이 안 되는 밸류에이션."
"각 포지션에서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수익이 얼마인지, 수익을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지, 위험-수익 프로파일이 다른 투자 기회들과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고려한다.(*수익의 규모가 얼마인지, 샤프지수가 어떻게 되는지, 다른 투자에 대한 기회비용을 고려한다는 말)"
"계량적 연구(*퀀트)는 개별 포지션의 크기 조정, 팩터 노출 및 포트폴리오의 위험과 관련된 의사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헤지펀드들은 한 두 분기만을 내다보고 있다. 우리는 장기간에 집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 한 환경에서 운영을 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보면 시장이 결국 진정하 가치를 인식하기 때문에 펀더멘털이 더 큰 역할을 하며, 단기적인 혼란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대표 펀드의 목표 순노출도는 45% 정도이다. 거시 경제의 요소를 이해하고 시장의 위험을 고려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만, 그런 것들은 노출도에 일부만 영향을 미친다. 핵심은 시장이나 산업과 같은 거시적인 요소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투자하는 모든 지역과 산업 내에서 매수와 공매도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8장 공매도 전문 투자
9장 계량적 주식 투자 (퀀트)
'헷지 전략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율적으로 비효율적인 시장 3부(작성중) (0) | 2022.01.15 |
---|---|
효율적으로 비효율적인 시장 2부 다시 정리 (0) | 2022.01.11 |
월가아재 - 금리상승기와 중소형주 (0) | 2021.11.07 |
흔들리지 않는 장기 전략 (0) | 2021.11.05 |
인플레이션에 대한 배팅과 국채입찰 (0) | 2021.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