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올해 말까진 상승한다. 한국 시장으로 자금이 들어온다.
3억 중에서 일부 신용을 줄여야 한다. NH의 장기투자 자금은 2억은 건들지 않는다.
1억 중에서 리밸런싱을 한다. 시클리컬 베팅에 실패한 거 아닌가 강한 의심을 한다. 시클리컬은 6개월 짜리 항모다. 원자재가 상승을 판가에 전가시킬 수 있을 때 의미가 있다.
그런데 2차전지 상승폭은 더 크고, 수요는 더 많다. 선택과 집중을 해야한다고 하면, 2차전지 섹터의 비중을 다시 늘리는 것이 맞다. 문제는 언제???
'헷지 전략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율적으로 비효율적인 시장 2부 (0) | 2022.01.11 |
---|---|
월가아재 - 금리상승기와 중소형주 (0) | 2021.11.07 |
인플레이션에 대한 배팅과 국채입찰 (0) | 2021.10.20 |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 (0) | 2021.10.11 |
무형자산이 성장하던 시기 일본의 시총 변화(조사중) (0) | 202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