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평] ▶️ 춘절 이후 재고확보 영향으로 시황 급등 중입니다. 에틸렌 +17%, 가성소다/BD +13%, DOP +8%, PTA +7%, PA/PS +6%, 페놀/프로필렌/PET +4%, PX/PE/천연고무 +3%, PVC/ABS +2% 등이 눈에 띕니다.
▶️ 정제마진은 11.9$로 약 6년 래 최대입니다. 특히, 경유 마진은 약 8년 래 최대입니다. 또한 정유주는 PX의 10주 연속 상승까지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 특정 종목에 대한 집중보다는 포트폴리오를 넓게 가져가는 확장 전략이 유리한 국면입니다.
▶️ Top Picks를 여러 종목 추천합니다. S-Oil, 금호석유, 롯데케미칼, KCC, 롯데정밀, 효성티앤씨, 애경케미칼을 제시합니다.
[석유화학] ▶️ 에틸렌(+17%)/PE(+3%) 상승은 가동률 조정 및 재고확보 영향. YNCC 폭발사고(No.3 40만톤/년. M/S 0.2%) 이전부터 가격 강세는 나타나기 시작. YNCC 전체 설비(220만톤/년, M/S 1.1%) 가동중단 가능성을 투자포인트로 삼을 경우, 자가당착에 빠지기 쉬움. 수요 회복과 재고확보에 집중할 것을 권유
▶️ 가성소다 급등(+13%)은 글로벌 전기료 상승에 따른 공급부족, 전방 알루미늄 가격 강세에 따른 수요 회복 영향
[정유] ▶️ 미국 정제설비 가동률은 88%이나, 등/경유 재고는 6년 래 최.저로 극도의 수급 타이트. 주로 미국으로부터 석유제품을 조달하는 멕시코는 이를 감안해 자체 설비를 증설할 계획
▶️ 이에 따라, 2022년 원유수출 절반 축소, 2023년 완전 수출 중단 예고. 실제 2/8일 PEMEX는 Top3 원유 수출처인 인도향 원유 수출 YoY -85% 감축(9.8만→1.5만b/d) 발표
▶️ 인도 정제설비 가동률은 8월 87%에서 12월 101%로 상향되면서 원유 수요 증가 중
▶️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슈를 제외하더라도, OPEC의 Target 생산량 miss, 수요 회복 감안 시 원유 수급은 기본적으로 타이트
** 하나금투 소재산업재
https://t.me/joinchat/AAAAAEecImKoJBorcHRPWQ
실수를 방기하기 위한 기업 스크리닝
좋은 회사인가? 싼 가?
MDD는 어떠한가? 변동성은 어떠한가?
영업이익, 순이익이 -난 것은 2020년 그런데 주가는 더 뛰었다?
`21년도에 변화가 있었나?https://www.butler.works/reports/report?corp_code=01234297
BM의 핵심은 무엇인가
산업이 성장하는 섹터인가-단기 트레이딩하는 섹터인가
경제적 해자는 얼마인가 또는 턴어라운드 하는데 경쟁자가 다 뒈져 시장 지배력이 있는가
인플레이션 때 판매가의 전가가 가능한가
과거 데이터에서 어느 국면에서 상승, 하강 했는가
CEO가 제정신인가
국장일 경우 외인기관 투자비중 얼마인가
실제 거래가능물량은 얼마인가
전환사채 발행량은 얼마인가
통제 불가능한 리스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매출액이 성장하는가
영업이익이 어느 수준인가
리얼옵션은 몇개 달렸는가
기업의 연혁
기업 홈페이지의 연혁 및 변화 과정을 간단히 파악
에너지 경화 수지를 판매하는 회사
연혁
1959 미원상사
1983 반월공장
1989 모노머 생산
1995 전주공장 모노머 생산
2000 올리고머 생산
2007 미원 북미 법인 설립
2009 미원상사에서 인적분할
2017.5. 상장
주가의 흐름 / 변동성 확인
기업의 주가 흐름을 통해 파악한 기업과 산업의 국면 파악
전고점 대비 몇 % 하락하는가?
미원에스씨
와... 코로나때 꼴랑 -9.68% 밖에 안빠짐. 이게 말이 됩니까? ㄷㄷㄷ
반등할 땐 +22% 반등
횡보장 40거래일
다시 30% 상승
2017.5. 상장부터 2022.3. 현재까지 흐름
상장 직후 반토막났다가 차근차근치고 올라와서 2021년 인플레이션 데호황 장을 맞이하여 레벌업 한 것이 보임
특히 21.3월 2배 가까운 점프를 했는데, 작년 3월이야말로 본격 인플레이션이 시작되었던 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됨
공급쇼티지가 해결되고 잘 될줄 알았으나 공급쇼티지는 하루 아침에 해결되지 않았음
제품 현황
주요 제품군과 판매 현황, 미래 전략 현황
UV 도료라고 하는 에너지경화수지 및 기타로 531십억의 매출을 올리고 있음.
이와 같은 특허를 갖고 있음.
주요 매출처는
엘지화학/ 코오롱/ RAHN AG/ TOYO Chemical 등이 있음
P x Q - C 관점에서 기업 보기
주요 제품군에서 나타나는 P 의 변화
주요 제품군에서 나타나는 Q 의 변화
주요 제품군에서 나타나는 C 의 변화
구매가격이 점차 상승중/
`21년동안 산류는 2182억 / 알코올류는 1389억 ... 용제류는 좀 적을 것으로 추정함
산류와 알코올류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만큼, 판가에 전가가 될런지는 지켜봐야 한다
계열사 현황
연결 기업 및 계열사를 통해 회사에 대해 놓친 부분 없게 확인
대주주 현황
대주주 현황을 파악하며 대주주 리스크는 없는지 확인, 얼마나 주주 친화적 태도를 갖고 있는지 스크리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