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익 GDP와 물가상승

 

경제상식에 관한 문제 2개

그렇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쉽지도 않다

두 문제 다 맞추면 경제에 대한 이해수준이 상당하다고 인정한다

1. 중고차 가격은 물가 측정에 포함될까 안될까

2. 중고차 거래액은 GDP에 포함될까 안될까

답은

중고차 가격은 물가 측정에 포함되지만

GDP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럼 당장 떠오르는 의문이

실질 GDP는 명목GDP를 물가 상승률로 나눈 건데

물가 측정과 GDP 측정의 대상항목이 다르면 어떻하냐

하는 것일 것이다

실질 GDP는 명목 GDP를 물가상승률로 나눈 것이 아니다

물가상승률이 아니라 GDP 디플레이터로 나눈다

(GDP 디플레이터는 GDP에 들어있는 모든 항목의 가격변화를 고려하여 계산한 수치인 반면

CPI는 물가 바스켓 안에 있는 항목만 계산한다

물가 바스켓을 어떻게 구성하느냐는 단순한 통계상의 이슈가 아니라 정책적 의사결정의 문제이다)

물가상승률과 GDP는 동일 선상의 개념이 아니다

다른 도메인의 문제이다

둘은 정책목표가 다르다

GDP정책은 국가 전체의 생산 방면의 자원배분을 어떻게 할까가 주대상인 반면

물가 관리는 중산층 또는 서민층이 주요 정책 대상이며 이들의 생활안정이 주요 정책 목표이다

예전에 자산가격 상승은 왜 CPI에 안 들어가냐 궁금했는데

자산가격 관리는 서민생활 안정과 당장 직접적 관계는 없기 때문이다

(모든 것을 다 잘할 수는 없다

정책이란 것은 무엇이 중요하냐를 정하고 거기에 관리를 집중하는 것이다)

CPI와 같은 맥락에서 임금도 중요하다

물가와 임금간의 균형이 다수 사회구성원의 지속가능한 가계 유지에 중요한 관건이기 때문이다

이는 경제안정에 중요할 뿐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래서 미국 연준의 듀얼 맨데잇도 물가 안정과 고용 안정이다

(자산가격 안정이 아니다

자산가격은 금융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관리하는 거다)

그래서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과 고용 증대를 이끌어 낼 수 있다면 자산가격 상승을 용인할 수 있는 거다

자산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물가 안정과 고용 증대를 이끌어 낼수 있으면 자산가격상승을 용인할 뿐 아니라 유도한다

이게 이제까지의 각국 중앙은행의 스탠스였다

만일 물가 안정과 고용 안정간의 균형이 위험해지면 중앙은행은 이를 담보하기 위해 액션에 나설거다

그게 자산가격의 상승을 일으키든 하락을 일으키든 상관없이 말이다

(1970년대 폴 볼커를 보라)

 

 

'자료실 > 외환, 채권, 시장상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완규 페북  (0) 2021.12.30
투자와 시간지평 - 오완규  (0) 2021.11.14
이자보상배율, 리스크 체크  (0) 2021.10.28
마켓마이커를 이해하자  (0) 2021.10.25
엔터테인먼트 업의 본질  (0) 2021.10.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