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환 이사의 스페셜 리포트>>>
.
우리나라 증시만 왜 이래?
.
다 같이 약세를 보인다면 불만은 없습니다.
하지만 다 오르는데, 우리만 약세를 보인다면 속상해집니다.
지금이 딱 그런 상황인데요, 미국 증시는 올해에만 50여차례나 신고가를 경신하면서 역주하고 있어요.
반면에, 우리네 증시는 너무도 허약합니다.
.
테이퍼링에 대한 우려감 때문에 이머징 전체가 약세를 보이는 걸까요?
그렇지도 않습니다.
인도 증시는 올해 내내 상승했고, 지금도 신고가에서 멀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유독 우리네 증시만 힘이 없다는 말이죠.
.
이유가 뭘까요?
.
우선 우리네 증시에만 문제를 만들 수 있는 사건이 몇 가지 있었는데요...
그 중에 가장 큰 문제라면 국제 공급망 충격이었습니다.
그 외에도, 2차 전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최근 두드러지기도 했었죠.
.
우리네 삼성전자나, 하이닉스만 하락한 게 아닙니다.
미국의 Micron Tech도 4월 고점 대비 30%나 하락했었죠.
또한 대만 증시도 일반 이머징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 전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들이 하락한 이유는 모두 불확실한 시장 전망 때문이었죠.
서버 디램이 하락할 것이다~, 혹은 모바일 디램이 하락할 것이다~
뭐 이런 불길한 전망들 말입니다.
.
이런 전망들은 모두 국제 공급망 충격에 기인합니다.
그동안 GVC은 잘 분업화되어 있었습니다.
어느 나라에서는 하네스를 만들고, 어느 나라에서는 차량용 반도체를 만들어 조립하는 식으로 말이죠.
.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기존의 GVC 질서에 구멍이 생긴 겁니다.
선진국들이야 백신 미리 맞고 빨리 회복될 수 있었지만 이머징은 바이러스가 확산되면 선택지가 없었어요. 그냥 강력한 폐쇄 뿐이었지요.
어떤 부품이라도 하나만 부족하면 전체 공정에 문제가 생깁니다.
이번 주 현대차의 실적 발표에서도 글로벌 판매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9.9%나 감소한 이유도, 결국 부품에 대한 조달이 어려웠기 때문이었던 것처럼 말이죠.
.
우리나라는 수출을 해서 먹고사는 나라에요.
그 중에서도 반도체와 자동차에 대한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죠.
이들이 모두 시원치 않은데, 주가가 곱게 오를 리가 없습니다.
.
물론, 이번 주 발표된 하이닉스의 실적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사람들이 걱정을 많이 했었습니다만, 뚜껑을 열어보니, 그다지 매출이 감소하지 않았다는 말이죠.
실제로 4분기 모바일 디램 가격은 오히려 1~2% 정도 상승했습니다.
PC디램이 좀 빠지기는 했지만 우리와는 거의 상관 없는 기종이었구요, 그마저도 하락률이 고작 2~3%에 불과합니다.
서버 디램이 좀 하락하기는 했지만, 이건 DDR5에 대한 기대치 때문일 겁니다.
10%나 전력 소모가 적은 DDR5가 나오면 그 때 투자를 강화하겠다는 계산으로 투자를 이연시켰기 때문이죠.
.
그럼 뭐가 문제였을까요?
슈퍼 갑인 애플이 생산량을 줄이겠다고 하면서 불안감이 커진 겁니다.
애플 등이 생산량을 줄인다면, 앞으로 반도체 공급은 덩달아 줄어들 수밖에 없을테니까요.
.
사실, 공급망 충격만 아니라면 우리네 삼성전자는 남다른 매력을 가진 회사입니다.
바로 플렛폼이 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죠.
.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겠군요.
예전에 반도체 회사는 대부분 IDM 형태였습니다.
스펙을 짜고 구성하고 Layout하고 시스템화하는 것까지 모두 하나의 회사에서 처리했었죠.
.
그런데 이런 관행에 문제가 생겼어요.
예전에는 시스템 반도체가 쓰이는 곳이 몇 군데 되지 않았거든요.
컴퓨터나 휴대전화가 고작이었죠.
그런데, 지금은 너~~무도 다양해졌습니다.
휴대폰을 가동시키기 위해서 써야하는 반도체와 자율주행차를 굴리기 위한 반도체, 혹은 게임을 구동하기 위한 반도체의 영역이 모두 다르거든요.
.
지금까지 시스템 반도체의 강자는 인텔이었는데요, 인텔은 그냥 뭉뚱그려서 영역을 배분했고, 완제품 메이커들은 별로 필요 없는 영역까지 배분된 반도체를 그냥 가져다 쓸 수밖에 없었습니다.
.
좀 쉽게 예를 들어 볼까요?
누군가가 캠핑용 배낭을 만들어 판다고 해보죠.
어떤 고객은 깊은 산 속에서 야영을 하고자 할 것이고, 어떤 고객은 낚시터에서 낚시를 원합니다.
혹자는, 가벼운 산행 정도를 원하지요.
캠핑 배낭을 만들어 파는 회사는 누가 어떤 니즈를 가지고 있는 지 모르기 때문에 코펠도 하나 넣고 버너도 하나 넣을 겁니다.
.
이런 범용 배낭을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유저들이 갖다 썼어요.
애플에서도 맥북을 만들 때, 우리나라의 삼성에서도 휴대폰을 만들 때 인텔에서 만든 범용 시스템 반도체를 가져다가 썼지요.
.
하지만 겨울 산에서 야영이 필요한 사람은 일반 야영자보다 더 다양한 것이 필요할 겁니다.
렌턴도 필요할 것이고, 오리털 침낭도 있어야할 겁니다.
그래서, 자신이 직접 하나씩 장비를 구입하기로 했다고 해보죠.
배낭에 들어갈 리스트를 정해놨는데, 누군가가 그 리스트에 맞춰서 장비를 대리 구입해 준다고 했다면요?
더는 범용 배낭을 사지 않겠죠?
.
실제로 자율 주행이나 AI 가 부여된 여러 디바이스들은 모든 영역이 랜덤하게 부여된 범용 반도체를 적용할 수 없어요.
예를 들어, PC 회사에서 AI영역은 그다지 필요가 없어요.
그럼에도 이미 배분되어 있는 반도체를 써야만 한다면 효율도 떨어지고 공간만 더 차지합니다.
PC야 공간 좀 더 차지해도 문제가 없겠지만, 휴대폰처럼 작은 디바이스에는 공간도 중요하고, 소비 전력도 매우 중요하죠.
.
이 때 TSMC가 나타난 겁니다.
자신들은 어떠한 영역을 배분한 반도체라도 만들 수 있도록 공정 상의 모든 부분을 플렛포옴화 해두고, 애플이나 혹은 테슬라 등의 고객들에게 손짓을 하게 된 것이죠.
자신들의 플렛폼에서 어떤 반도체라도 만들어줄테니, 디바이스에 필요한 영역만을 딱 맞춤식으로 디자인해서 가져오라고 말이죠.
.
테슬라는 즉시, 연산 부분을 줄이고 대신 AI영역에 대한 배분을 더 해서 맞춤형 반도체를 설계했고, 그것을 TSMC에게 맡기게 되면서 좀 더 싸고 자사의 니즈에 맞는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
그런 점에서 애플도 마찬가지였지요.
지난 19일 애플이 자체 디자인한 프로세서 <M1 Pro/Max>도 이런 식으로 태어난 맞춤 반도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애플에 의하면 M1 PRo의 성능이 인텔이나 AMD에서 만든 가장 최신의 8코어 노트북 PC용 프로세서보다 동일 전력 수준에서 최대 1.7배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
무려 70%나 낮은 전력으로도 경쟁 PC의 최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불필요하게 할당된 부분을 제거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죠.
역시 TSMC의 맞춤옷 공장에서 만들어진 시스템 반도체였습니다.
.
아마존도 자체 디자인한 반도체 개발을 천명했는데요, 대기업만이 맞춤 옷이 필요한 게 아닙니다.
앞으로 수 많은 AI관련 스타트업에서도 범용 반도체로는 비용 면에서도 효율면에서도 만족시킬 수 없어요.
.
이런 시장에 삼성전자가 뛰어든 겁니다.
맞춤옷 사업은 워낙 장비가 비싸서 현금이 많지 않으면 진입은 엄두도 낼 수 없지요.
대당 수천억 하는 EUV 장비를 실패할 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덜컥 구매할 수 있는 회사는 흔하지 않거든요.
지금까지는 중국이 막강한 자금력을 쏟아부으며 강하게 추격해왔지만, 무역 전쟁 이후 미국에 의해 EUV 금수 조치가 내려졌기 때문에 중국은 이제 경쟁자에서 배제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맞춤옷 시장은 삼성과 TSMC가 세상을 양분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말이죠.
그런 점에서 삼성 전자의 미래 가치는 출중하다는 점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
다만, 걱정거리가 하나 있어요.
바로 미국 주도로 국제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다는 점인데요, 만약 삼성 전자의 미래 먹거리인 최선단공정(맞춤옷 공정)이 미국으로 다 가버린다면 미국의 매출이 되고 미국에서 고용하며, 미국에 세금을 내는 미국의 회사가 되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지금 미국에서는 세금 혜택 등을 쏟아 부으며 TSMC나 삼성전자에게 적극적인 러브콜을 하고 있지요.
만약 최 선단공장이 대부분 미국에 세워진다면, 우리나라에 있는 삼성전자는 자칫 빛 좋은 개살구 꼴이 될 수도 있습니다.
중장기 적인 삼성전자의 투자 가치는 앞으로 전개되는 사항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는 말이죠.
.
그럼, 이제 2차 전지로 가보죠.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삼원계 배터리를 잘 만들어요.
삼원계라는 것은 니켈 카드늄 망간처럼, 3가지의 메탈이 조합된 배터리를 말합니다.
중국에서는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만들죠.
지금까지는 리튬인산철에 비해 삼원계가 훨씬 더 앞선 기술로 인정받고 있었고, 실제로 중국을 제외하고는 대다수의 지역에서 우리네 삼원계 배터리가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
그런데, 최근 글로벌 전기차 메이커들이 하나 둘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채용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사단이 난겁니다.
특히 테슬라가 범용 차량에 리튬인산철을 백퍼 채용하겠다고 하면서 우리네 2차 전지 밸류체인 전체가 큰 폭의 조정을 보였었지요.
.
우선 LFP가 우리네 배터리 대비 좋은 점부터 말씀드리는 게 좋겠군요.
수명과 안정성, 그리고 가격이 싸다는 게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장점입니다.
.
LFP의 경우 육면체 구조라서 층상 구조인 3원계에 비해 태생적으로 폭발 위험이 작습니다.
게다가 방전 시에 리튬이온이 빠져나가도 결정 구조가 열화되어 부푸는 현상도 거의 없지요.
.
폭발 위험이 작다는 건 대단한 매력입니다.
아무리 높은 효율을 자랑하는 배터리를 장착했다고 해도, 불 한 번 나면 그로 인한 리콜 비용도 만만치 않겠지만, 그동안 내연 기관으로서 수십년 동안 쌓아온 신뢰와 명성에도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 점이 아마도 유럽의 일부 메이커들과 테슬라가 LFP을 선택한 이유가 될 겁니다.
.
하지만 말이죠.
이건 지금 개발 중인 신소재들이 충분히 잡아줄 수 있는 소소한 문제들입니다.
지금까지 카본 소재였던 것이 실리콘 소재로 대체되고 있구요, 전해액도 좀 더 진보된 제품들이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신소재들에 의해서 우리네 삼원계 배터리의 수명은 물론이고 안정성이 현저히 높아지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을 겁니다.
.
지금 당장 좁혀지지 않는 문제는 가격인데요...현재 LFP에 비해서 삼원계가 대략 30% 정도 더 비싸거든요.
하지만 이 마저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분히 극복이 가능합니다.
.
우리네 삼원계 배터리를 하이니켈이라고 하잖아요?
니켈의 함량을 높였다는 말인데요, 니켈 함량에 따라서 622, 811 등으로 표시합니다.
지금은 90%까지 확장되어 있는 상황이고, 장외 기업 중에 S사는 니켈 함량을 95%까지 확장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소식도 있었습니다.
니켈 함량이 높아질수록 킬로당 셀 가격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미 상용화된 90%의 니켈 함량만으로도 에너지 밀도는 최대 킬로그램 당 305킬로까지 높아지게 되죠.
2023년부터는 90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럼 가격 차이는 대략 20% 이하로 좁혀집니다.
제 생각이 맞다면, 2025년이 되면 대략 10% 내외로 가격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LFP는 가격이 내려가지 않겠느냐구요?
사실상 어렵습니다.
현재의 기술로는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기 때문이죠.
.
그럼 이번에는 LFP의 결정적 단점을 말씀드리죠
말하나마나 엄청 무겁습니다.
말 그대로 철이 들어가니까요.
최근에는 CTP 공법을 통해서 어느 정도 무게를 줄였다고는 하나, 동작 전압이 3.2V 로 현저히 낮은 것이 문제입니다.
전압이 낮다는 것은 손실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죠.
결국, SUV가 아니라면, 일반 승용차의 경우 적재할 곳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행거리를 400킬로미터 이상으로 끌어 올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물론, 최근 비야디나 혹은 CATL 측에서 발표하는 전기차는 주행 거리가 하나같이 500킬로 이상으로 되어 있습니다만, 저는 믿지 못하겠습니다.
.
지금 당장은 LFP가 가격 면에서 유리하고 안정성이 있다지만, 안정성은 거의 따라잡았고 가격마저 3~4년 이내에 10% 이내로 따라잡을 수 있다면, 결국 유저들의 선택은 삼원계로 되돌아오게 될 것입니다.
테슬라가 싸구려 버전에 LFP를 탑재하던 말던, 우리는 우리 갈 길을 가면 된다는 말이죠.
.
그런 점에서 저는 우리네 2차전지 업체들이 LFP에 기웃거리는 게 내심 못마땅 합니다.
얼마 전 화웨이에서 우리네 Z폴더를 그대로 베낀 제품을 발표했더군요.
오징어 게임도 싹 베꼈구요.
만약 우리가 그들을 따라하면 "너희도 우리꺼 복제하냐?"며 얼마나 생색을 낼까요?
국제 사회에서도 할 말이 없어집니다.
.
저는 2차 전지에 대해서는 강력한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네 배터리의 약점을 커버할 수 있는 전해질 쪽이나 혹은 안정성과 관련된 신소재 분야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
결론을 말씀드리죠.
.
다른 나라에 비해 볼품 없는 증시에 속이 많이 상하실텐데요, 우리나라는 자동차와 반도체가 주종입니다.
이들이 약하면 상대적으로 약할 수밖에 없어요.
지금은 바이러스와 중국의 대정전 사태 등, 공급망의 지나친 왜곡 현상으로 인해 우리네 증시가 상대적으로 약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상대적 약세를 벗어내기 위해서는 동남아시아 시장이 정상화되어야만 한다는 말이죠.
.
다행이도, 11월부터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의 부품 공급사들이 대부분 정상으로 되돌아올 예정입니다.
특히 글로벌 제약사 머크가 경구용 치료제의 로얄티를 풀고 공개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위드 코로나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졌습니다.
지금까지 이연되었던 수요가 따라 붙을 경우 그동안 뒤쳐졌던 우리나라는 빠르게 회복할 수도 있습니다.
.
다만....
바이러스가 하는 일은 미리 예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도 염두에 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지난 5개월 동안 얀센의 효능은 88.4%에서 3.11%로 감소했다네요.
얀센 맞으신 분들은 방어력이 거의 사라져 당장 추가 접종이 필요해졌다는 말입니다.
.
화이자는 91.5%였던 것이 5개월만에 49.6%로, 모더나는 92.7%였던 것이 64.2%로 낮아졌답니다.
그러다보니 선진국에서는 부스터 샷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에서 부스터 샷을 결정한다면, 이머징으로 가야할 백신이 부족해져, 바이러스 변종의 재창궐 위험이 커질 수도 있고, 또한 기존의 약해진 백신 방어력 때문에 5차 확산의 위험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11월 리오프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강한 반등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어떤 이유로든 그렇지 못할 경우, 우리네 증시의 상대적 약세는 얼마든지 재개되거나 혹은 연장될 수도 있다는 점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
하나금융투자 CLUB 1WM 금융센터 박문환 이사(샤프슈터)
'자료실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하이오 낚식꾼, 질로우 데이터사이언스 논쟁 (0) | 2021.11.08 |
---|---|
초국가적 괴물 된 GAFA에 소송법개정은 ... (0) | 2021.11.03 |
KOYFIN (0) | 2021.10.27 |
스타시티즌 개발과 투자 (0) | 2021.10.25 |
새로운 리튬 추출법 (0) | 2021.10.17 |